[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 질문, 자료요청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title
질문, 자료요청

path

  • Home
  • 커뮤니티
  • 질문, 자료요청
  • subtitle
    커뮤니티

    sidemenu
    y

    registed
    y

    cate1
    011

    cate2
    001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본문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1. 거점 방어의 시작과 성의 형성


    정복의 시대가 도래 하고부족과 부족에서 국가와 국가사이의 전쟁이 벌어지자 거점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었다

    물론 청동기 시대 이후에 각 부족들이 구릉 지대위에 촌락을 조성하고 기초적인 형태의 읍락구조를 형성했지만 전쟁의 규모가 점점 커지자자연 구릉만으로는 침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이미 문명이 시작된 황하 유역에서는 흙을 성토盛土하여 토성을 쌓아 성읍국가城邑國家의 형태를 마련하였다상고시대부터 도시국가의 일종인 성읍국가들이 들어서자 서로의 성읍을 공격하기 위한 방법도 발전하기 시작했고침략자들로부터 성읍을 수호하는 수성술도 많이 연구되었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고조선 시대에 도성으로 왕검성의 존재가 눈에 띄고 이에 따라기본적으로 산맥과 산맥 사이의 요충지서부 산악지대의 험지서해안의 좁은 통로를 중심으로 여러 군데의 성을 조성하였다는 추측이 가능하다전쟁의 규모가 커지면서 성읍의 규모는 물론성격이 달라졌는데 이는 국가의 확장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다국가가 확장되면서 기존에 한 개의 성읍만으로 이루어진 국가가 여러 개의 성읍으로 발달하였고 여러 개의 성읍 사이에 안정적인 강역을 마련하기 시작하면서 도성과 지방을 다스리기 위한 치소그리고 지방 거점과 전략적 요충지에 설치된 요새 등으로 성읍의 형태가 분화되기 시작한 것이다물론 고구려의 경우처럼 도성이 요새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존재하기도 하였지만어디까지나 초기의 형태였을 뿐이다도성은 주로 도읍을 지키기 위한 용도와 왕실의 권위를 세우기 위한 두 가지 용도로 축조되었고주로 평지에 건설하였기 때문에 유사시를 대비하여 주변에 방어용 산성을 쌓았다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대규모 침략에 대비한 나성을 쌓기도 하였다지방의 주요 치소 또한평지에 거점과 지방 중심지의 역할을 겸하게 하였다특히 성이 요새의 형태를 띠면서 다양한 축성술이 등장하였다바야흐로 성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2. 축성법築城法

    1)석성과 토성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흔히 생각하는 성의 모습을 갖춘 신라의 삼년산성]

    석성石城

    먼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성의 이미지는 돌로 만든 성곽이 길게 이어져 있는 모습일 것이다실제로 우리나라는 돌로 만든 석성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물론 동아시아 3국 모두 전축塼築토축土築석축을 모두 혼용하였지만 중국의 성은 대부분이 벽돌로 만든 전축성이나 토성이고 일본의 성은 관동과 그 이서지역이 서로 토축과 석축으로 나뉘는 것을 감안하면 석축의 비중이 굉장히 높은 편에 속한다의외로 석성의 경우 토성보다 그 축성법이 간단한데그것은 돌 자체가 깎아내서 성형하기도 용이하고자체의 내구성도 여타 재료에 비하면 강력한 자체 특성에도 기인하는 일이지만 특히 우리의 지형상 질 좋은 화강암을 구하기 쉬웠던 것이 주요한 이유로 작용했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삭토법(削土法)

     가장 일반적인 석성 축성법인 삭토법은 산의 완만한 능선을 깎아내 급경사를 만들고 그 경사면에 돌을 3, 4겹에서 많게는 수십 겹으로 쌓는 방법이다주로 화강암을 사용하였고 삭토의 특성상 산성 축조에 주로 이용된 방법이다능선에 바로 기대서 만들기 때문에 축성이 간단하고 상대적으로 단기간에 축성할 수 있었지만 산사태가 많은 지역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협축법(夾築法)

     협축법은 말 그대로 성벽의 내부에 흙과 돌을 섞어 성벽의 외벽을 수 겹의 돌로 맞대어 쌓은 방식이다내부 재료를 성곽 사이에 끼어 삭토에 비해 성곽 자체의 내구도를 향상시킨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편축법(片築法)

     편축법은 기본적으로 협축법과 비슷한 방법의 축성법이다협축법이 흙과 돌을 섞어서 내부에 기반을 조성한다면 편축법은 흙만으로 그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편축을 사용하여 축성할 때에는 흙이 가진 취약성을 고려하여 주로 판축으로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판축토법에 대해서는 토성 부분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토성의 대표, 풍납토성

    토성

    토성은 중국의 황하를 중심으로 한 황토지대와 평원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축성문화이다우리나라에서도 비교적 많은 수의 토성이 남아있었고일본의 경우에도 관동을 중심으로 토성 문화가 유행하였다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백제가 지배한 범 서부 지역에 토성이 집중되어 있는데특히나 백제가 5백여 년간 도읍으로 삼았던 서울경기를 중심으로 많은 토성이 남아있다가장 대표적인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을 비롯해 삼성동과 아차산의 토성흔적이나 황해도와 경기도에 걸쳐 넓게 퍼져있는 토성들은 백제 초중반기의 주된 축성양식이 토성이였음을 알게 해주는 중요한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덧붙여 고구려의 안시성도 전투 기록과 유구를 살펴볼 때에 토성이었거나일부 구간이 토성으로 조성되었음이 추정된다토성은 이렇게 평야지대에 많이 축성되었지만 산성의 자연 능선을 이용한 구간이나큰 돌을 구하기 힘든 지역에서도 많이 이용된 방법이었다토성 같은 경우는 석성과 같이 여장을 올리기 힘들기 때문에 성벽 위에 목책을 쌓아 방어력을 높였다다만중국과 같이 황토진흙으로 만든 토성은 여장도 흙으로 만들었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그림 출처 : https://tadream.tistory.com/31593)
     

    성토법(盛土法)

    성토법은 가장 일반적인 토성 축성법으로역시 말 그대로 흙을 성토즉 그대로 쌓아 올린 방법이다초기의 토성 형태에서 많이 발견되는 모양이고 판축법이나 석심토축법에 비해 단순한 축성법 덕분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방어력을 보였다.


    삭토법(削土法)

    삭토법은 석성에서의 설명과 같다다만차이점이 있다면 석성 삭토법의 경우경사면에 돌을 겹 쌓아올리지만 토성의 경우그 면을 다듬어 그대로 이용한다는 점이다물론 비가 유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경사면에 점토를 바르고 말뚝을 박아 내구도를 높였다삭토축법을 이용한 토성은 주로 산의 능선이나 구릉을 그대로 사용한 방법에 속한다.


    판축법(版築法)

    판축법은 한강 유역의 백제시대 토성특히 몽촌토성과 같이 도성의 역할을 하였던 주요 토성에서 많이 보이는 방법이며가장 안정적인 축성법이기도 하다판축법은 목주와 큰 널판으로 구성된 사각형의 나무틀에 고운 흙을 쪄내어 한 겹 다져넣고 진흙과 지푸라기재 등을 섞은 것을 한겹 올리고 다시 고운 흙을 다소 다져넣는 과정을 반복하여 나무틀 안에 하나의 벽돌과 같이 흙을 다져넣어 다수의 나무틀을 조성하여 그것을 층층이 쌓고서 경사면을 만들고 점토를 다시 몇 겹 경사면에 덧대어 축조하는 방식으로 축성 기간이 길고 동원 인력도 많았지만 성벽 안의 유기물들이 썩으면서 서로 엉겨 붙어 흙 자체의 내구성을 강하게 해주었다현재까지 원형을 유지하는 몽촌토성과 풍납동토성이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보축법(補築法)

    보축법은 흔히 생각하는 땜질을 생각하면 간단하다역시 산의 자연 능선을 이용하기는 하지만 능선 사이의 홈이나 연장하기 힘든 구간에 흙을 채워서 성벽의 형태를 조성하는 방법으로 독립적인 축성법이라기보다는 다른 축성법과 같이 쓰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석심토축법(石心土築法)

    석심토축법은 편축의 반대개념이다내부를 흙으로 채우고 외면을 돌로 축조한 편축법과는 반대로 내부에 큰 돌을 쌓고 점점 작은 돌을 쌓아가는 식으로 독립된 돌담을 만들고 그 외벽을 따라 몇 겹의 점토를 덧댄 형태이다주로 판축법과 같이 중국 토성에서 많이 쓰였던 방식이고 중요한 거점 방어나관문의 형태에 많이 쓰였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가장 흔히 접하는 산성인 남한산성의 가을 모습

    산성의 나라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산정식 산성의 대명사, 오녀산성



    산정식 산성山頂式 山城

     산정식 산성은 흔히 테뫼식 산성이라고 부르는 유형의 산성이다산정식 산성 역시 그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산 정상부근에 머리 수건을 두른 듯 성곽을 축조하여 산성을 이루었다산정식 산성은 산의 정상부근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정탐과 방어에 모두 용이하였고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는 역할도 훌륭하게 수행하였다다만그에 비례하여 군량과 식수지원병을 대기 힘들었고 적의 침공 시에 충분한 물자를 미리 마련해 두지 않았다면 장기간의 항전을 하기가 힘들었다그래서 대규모 군사가 상주하거나 포괄적 영역을 지배하기보다는 왕실이 유사시에 몽진하여 항전하거나아차산 보루와 같이 전진 보루형태로써 많이 이용되었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청주 상당산성의 그림을 보면 골짜기를 품은 것을 알 수 있다.

    포곡식 산성抱谷式 山城

     포곡식 산성은 골짜기를 품고 있는 형태로산의 능선을 따라 성곽을 축조한 형태이다골짜기를 끼고 있기 때문에 식수를 구하기가 상대적으로 유리하였고 성의 규모가 커서 다수의 물자와 군민을 수용할 수 있었다전략적 거점의 위치와 지역 지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었고 방어력도 어느 정도 갖추었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 많은 숫자의 산성이 이와 같이 축조되었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굳이 엮을 경우 복합식이라고 보여지는 한양도성

    복합식 산성

     복합식 산성은 산정식과 포곡식을 합쳐 놓은 형태로 도성 방위에 주로 이용된 대규모의 산성이다포곡식과 산정식의 장점을 모두 합쳐놓은 형태였다산정식 산성의 방어력과 포곡식 산성의 수용성을 모두 취할 수 있어 이상적인 형태였지만 역설적으로 대규모 공사가 필요하여 그렇게 많은 수가 축성되지는 못했다.


    image.png [ㅇㄷㅎ] 고대 성의 역사




    비전공자가 쓴 글이니 반박시 님 말이 맞음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6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질문, 자료요청
    번호
    제목
    글쓴이
    게시판 전체검색